#글로벌은행파산 #기준금리인상 #집값하락 한줄 요약 📝
- 연준, 은행권 혼란에도 "물가 잡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며 기준 금리 0.25%p 인상
- 미국 집값, 11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하락...매매 건수는 급등
|
|
|
US ECONOMY
연준, 은행권 혼란에도 기준 금리 0.25%p 인상...한미 금리 격차 22년 만에 최대 |
|
|
지난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하고 스위스에서 두 번째로 큰 크레디트스위스(CS)의 재무 건전성 우려가 제기되면서 전 세계 경제가 불안에 휩싸였는데요. 이에 따라 연준이 기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대두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미국 은행 시스템 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쓰겠다는 강력한 의지 표명하면서 기준금리 0.25%p 인상을 강행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최근 가계와 기업의 신용 여건이 경색돼 경제활동과 고용 등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다"라며 SVB 충격 이후 커진 불확실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탄력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번 SVB 파산은 "예외 상황"이고 "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은 경영 실패"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또한 일각에서 기대한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은 부인했습니다. 목표인 물가상승률 2%를 여전히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파월 의장은 "금리 동결을 고려했으나 인플레이션과 노동 데이터가 강했다"라면서 "올해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 게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고 발표했습니다. |
|
|
한편, 한국 기준금리는 연 3.50%로, 이번 연준 결정으로 양국 기준금리 차는 1.5%로 벌어졌습니다. 이는 2000년 5~10월 이후 22년 만에 최대 격차인데요. 일반적으로는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높은 국가로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에 따라 한국의 경우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벌어질수록 자본유출 우려가 높아지는 셈입니다. 이승헌 한은 부총재는 "대외 여건의 변화와 자본 유출입 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US REAL ESTATE
미국 집값, 11년 만에 전년 대비 하락... 매매 건수는 반등
|
|
|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급등하고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처지면서 미국 집값이 11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 통계를 인용해 지난 2월, 미국 기존주택 중위 가격이 $363,000(약 5억)로 작년 2월에 비해 0.2% 하락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131개월 동안 전년 동월 대비 상승세를 유지해온 미국 집값이 하락한 것은 2012년 2월 이후 처음이라고 합니다. 지역별로 봤을 때 낙폭이 가장 큰 지역은 주택 평균 가격이 비싼 서부와 북동부가 각각 5.6%, 4.5%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올 2월 주택 매매 건수는 전월 대비 14.5% 증가한 4,580,000건을 기록했습니다. 12개월만에 전월 대비 거래량이 다시 상승한 것인데요. 봄 시즌을 맞아 주택 수요가 회복하긴 했으나, 1년 전과 비교하면 22.6% 감소한 수치입니다.
WSJ은 주택시장 둔화의 원인으로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꼽았습니다. 아무래도 주택은 금리에 가장 민감하며, 높은 주택 비용은 인플레이션과 직결되기 때문에 금리 인상이 경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
미국 부동산을 보유할 때 미국인, 외국인, 개인, 법인에 상관없이 매년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세율은 지역마다 상이하며, 뉴저지가 가장 높고(2.42%) 하와이가 가장 낮습니다(0.3%).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Irvine과 같은 신도시에는 Mello-Roos Tax라고 부르는 특별개발세가 있는데, 적용되는 주택 보유자는 주택가격에 일정 비율(0.3~0.8%)을 기본 재산세에 추가로 부담하게 됩니다.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통해 일부 공제 가능하기 때문에, 절세 전략을 위해서는 꼭 전문가와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
|
|
BUILD BLOCK'S RECOMMENDATION
빌드블록이 추천합니다! 지역별 투자 가능 매물 🙋♀️ |
|
|
매매가: $810,000 (약 10.4억 원)
리츠칼튼 와이키키 콘도텔으로, 거주자들은 5성급 리조트 어매니티를 즐길 수 있습니다. 와이키키 해변까지 도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
|
384 W Ave 44, Los Angeles, CA |
|
|
매매가: $1,900,000 (약 24.9억 원)
LA 내에서 떠오르는 동네인 Mount Washington에 위치한 단독주택입니다. 언덕에 위치해 아웃도어 테라스에서 LA 전경을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
|
|
603 Arcadia Ter, Sunnyvale, CA |
|
|
매매가: $1,080,000 (약 14.1억 원)
Apple, Amazon, Google 등 실리콘밸리 테크 기업 오피스와 매우 근접합니다. 바로 앞에 101번, 237번 등 Bay Area 주요 고속도로가 있어서 타지역으로의 이동 또한 용이합니다. |
|
|
원하는 조건의 부동산을 찾지 못하셨나요?
더 많은 매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빌드블록에서 찾아보세요. |
|
|
BUILD BLOCK CASE STUDY
빌드블록은 고객님의 조건에 맞는 맞춤형 매물 또한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빌드블록 홈페이지에서 조건을 검색하셔서 현재 시장에서 구매 가능한 매물을 찾아보시거나, 빌드블록이 추천하는 다른 매물도 확인해보세요!
빌드블록을 통해 실제로 투자 수익을 실현한 성공 사례도 만나보세요! 😁 |
|
|
빌드블록 정기 세미나!
올해에도 빌드블록 정기 세미나는 계속됩니다. 미국 부동산 투자가 처음이시거나, 어떤 지역이나 매물에 투자해야 좋을지 모르시겠나요? 빌드블록 미국 부동산 투자 세미나는 미국 부동산 시장의 최신 동향부터 영주권까지, 투자자가 알아야 할 필수 정보를 처음부터 자세하게 안내해드립니다.
4월 세미나는 현재 신청이 마감되었습니다. 다음 세미나인 5월 13일 세미나를 신청해주세요!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다음에도 재미있는 소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
|
|
|